▒산행과여행▒/2025년앨범

전남 순천 :: 탐매마을 홍매화 【25년3월14일】

아젤리아 2025. 3. 17. 07:29

 

 

 

 

3월13일-경남 양산(통도사 홍매화),전남 순천(야생화탐방) 
3월14일-전남 순천(탐매마을),(복음교회),(사운즈옥천 카페),(와온해변) 
3월15일-부산 기장(매화원),경남 밀양향교 
3일간 봄 여행길

 

포항에서 장거리 여행길
하나하나 풀어본다.

 

 

 

 

 

 

 

 

경남 양산에서 전남 순천으로 왔다
양산 통도사 오전 9시경 홍매화 눈맞춤 하고 순천 야생화 탐방 으로 이루어 졌다
다음날 14일 새벽 6시경 매곡동 탐매마을 들어선다

 

 

 

 

 

 

 

 

여기도 요번 주중 홍매화 절정으로 이루어지겠다

 

 

 

 

 

 

 

순천시 매곡동 탐매마을
전국에서 가장 먼저 홍매화가 핀다고 알려진 탐매마을
이상기후로 예년보다 2주 정도 늦게 핀 홍매화

 

 

 

 

 

 

 

 

 

 

 

 

 

홍매화 들은 더욱 더 봄기운을 뽐내고
봄 찾아온 나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봄소식을 알리는 매화꽃이 광양에 가장 먼저 핀다 해서 기대를 했었는데 광양은 한주 더 늦게 피울듯  하다

 

 

 

 

 

 

 

 

 

 

 

 

 

 

 

다시 봄, 
여행객들은 거리마다 탐스럽게 피어난 꽃들을 사진에 담으며 순간의 계절을 영원한 기록으로 남긴다

 

 

 

 

 

 

 

 

 

 

 

 

 

 

 

매곡동 와서 홍매화를 보니까 기분이 너무 소녀로 돌아간 기분이 든다.

 

 

 

 

 

 

 

 

 

 

 

 

 

탐하고 싶을 만큼 아름다운 홍매화가 핀다는 탐매마을
3월17일쯤 홍매화 만개 예정이다

 

 

 

 

 

 

 

 

 

 

 

 

 

 

전국에서 봄을 가장 빨리 만날 수 있는 곳
순천 탐매마을에서 홍매화를 '탐'해본다

 

 

 

 

 

 

 

 

 

 

 

 

 

수많은 봄꽃들의 향연이 펼쳐질 순천의 봄, 

무엇을 상상하든 기대 그 이상일 것이다.

 

 

 

 

 

 

 

국내여행지 순천 미리 봄! 
올봄에 또 얼마나 달려야 하는지...

 

 

 

 

 

 

 

 

 

 

 

 

 

겨울의 찬 바람은 서서히 사그라 들고 제법 따듯한 봄 날씨 하늘도 좋고,
간간이 구름도 띄워주는 여행길.   
남쪽의 꽃소식! 

 

 

 

 

 

 

 

 

매곡동(순천) 탐매마 멀리서도 느껴지는 홍매화의 붉은 기운 

 

 

 

 

 

 

 

 

 

 

 

 

 

 

 

광양, 구례, 곡성, 화순, 보성, 여수와 맞닿은 순천은 전남 동부의 중심 도시로 순천만국가정원, 순천만 습지, 낙안읍성, 선암사, 송광사 등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로 가득한 도시다.  하여 사시사철 관광객이 끊이질 않지만 그중에서도 바로 지금, 톡톡 터지는 봄꽃 소식과 함께 여행의 시작된다.

 

 

 

 

 

 

 

 

 

아직 북쪽 땅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금전산(667.9m) 서쪽의 금둔사 매화는 붉은 봉오리를 열고 가장 먼저 봄소식을 알린다.  사찰 곳곳에 뿌리를 내린 청매와 설매 등 한국토종매화 100여 그루는 말할 것도 없고, 1월 말부터 꽃을 피운 홍매도 여섯 그루나 있다.

 

 

 

 

 

 

 

 

 

 

 

 

 

 

추억의 탐매정원: 매화 포토존
탐매 희망센터 뒤편으로 돌아가면 작은 동산에 탐매정원이 꾸며져 있다.

 

 

 

 

 

 

 

 

탐매정원 초목과 꽃으로 이루어진 정원은 팽나무, 느티나무, 백목련, 향나무, 동백, 매화가 있다. 
 꽃으로 드리워진 그림으로 성큼성큼 마음도 심쿵심쿵

 

 

 

 

 

 

 

 

 

순천의 원도심 매곡동 탐매마을은 금둔사와 더불어 홍매화 개화 시기를 다투는 곳이다.  
매곡동은 조선 중기 학자인 배숙(1516~1589)이 이곳에 홍매를 심고 초당을 지어 그 이름을 ‘매곡당’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홍매화 유명한 김준선 순천대 교수의 집으로 들어 가본다
이집은 김준선 전 순천대 교수가 3대를 이어 살고 있다
개인 사유지 이지만 누구나 드나들수 있도록 열려있는 순천시 지정 개방정원 이다

 

 

 

 

 

 

 

 

 

 

 

 

 

 

 

 

 

 

 

 

 

 

 

 

 

 

교수의 아버지가 50여 년전 30년 수령의 매실나무를 심어 최소 80살은 넘은 홍매 배경으로 흔적을 남겨본다

 

 

 

 

 

 

 

 

 

한적 하였던 매곡동 일대를 탐매마을로 변모시킨 주인공인 순천대 산림자원학과 김준선 교수의 집이다. 

 

 

 

 

 

 

 

 

 

 

 

 

 

 

 

매곡동 탐매마을이 순천의 매화명소로 알려진 데는 김준선 전 순천대 교수 집인 '붉은 매화가 아름다운 집'인 '홍매가헌(紅梅佳軒)'덕분. 
홍매가헌의 매화 두 그루가 입소문을 타면서 이 마을의 매화 또한 상춘객들의 발길을 끌어 들이는 장소가 되었다

 

 

 

 

 

 

 

 

 

 

 

 

 

 

순천시 매곡동 김준선 순천대 명예교수 자택에 피어 있는 수령 80년으로 추정되는 홍매화.

 

 

 

 

 

 

 

 

 

 

 

 

홍매화 절정이다

 

 

 

 

 

 

 

 

푸른 하늘과 어우러진 홍매화는 눈으로 담아도, 카메라로 찍어도 예쁘다.

 

 

 

 

 

 

 

 

봄의 서막을 알리는 꽃 소식이 남도에서 시작해 북상 중이다. 
이제 막 피어오른 봉오리 마다 생명이 깃들고 봄의 기운이 달콤한 숨결을 내보낸다.

 

 

 

 

 

 

 

 

 

 

 

 

 

 

 

동백의 붉은 꽃, 
순결한 하얀 매화, 아찔한 노란 유채가 화사하게 피어오르면 사람들의 눈도 마음도 환해진다. 
아쉽게도 한파의 영향으로 올해는 제철꽃들이 벙글지 못했다. 
그래도 봄은 막을 수 없는 법 3월 중순이면 지각한 꽃들이 더 화사하게 제모습을 비출 것이다. 

 

 

 

 

 

 

 

 

 

꽃들이 피어나는 계절에 맞춰 전국 각지에서는 다양한 봄꽃축제도 시작된다. 
꽃의 정령들이 화사하게 너울대는  봄의 교향곡을 듣게 될 것이다.

 

 

 

 

 

 

 

 

 

 

 

 

 

 

 

탐매마을은 예로부터 전국에서 홍매화가 이르게 피어 순천 가볼만한곳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특히나 3월이면 매해 마다 순천 매화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대한민국의 봄을 시작하는 매화조그만 마을 동네지만 따뜻한 봄을 맞이하기 좋은 곳이다.

 

 

 

 

 

 

 

 

 

 

 

 

 


순천 여행의 홍매화 절정은 이제 부터다.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이다. 
매서운 추위를 뚫고 피어 강인함과 지조를 상징하기도 하고, 기품 있는 자태로 고고함을 대표하기도 한다

 

 

 

 

 

 

 

 

 

탐매마을 여행은 순천대학교 후문까지 이어진 홍매화 거리에서 끝나지 않는다. 

 

 

 

 

 

 

 

 

 

볕이 무르 익으면 제 임무를 다한 꽃잎은 거리로 떨어져 나부낀다.  
발에 밟히는 꽃에게 미안하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매화향이 흩어진다.  
빠르면 빠른 대로 늦으면 늦은 대로 꽃은 봄을 찾아 먼 길을 달려온 이들에게 풋풋한 향기로 보답한다.

 

 

 

 

 

 

 

 

 

 

 

 

 

 

겨울바람 사이로 훈풍과 햇살이 쏟아지면 닫혔던 꽃은 수줍은 잎을 열고 기지개를 켠다. 
겹겹이 겹쳐진 꽃잎 안에 노란색 꽃술이 들었다. 

 

 

 

 

 

 

 

바람이 불 때마다 꽃술은 붉은 꽃잎 안에서 춤을 춘다. 

하늘하늘, 봄을 재촉하는 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