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과여행▒/2018년앨범

강원도 태백여행1/타임머신 타고 떠나보자, 신나는 추억여행&철암탄광역사촌 【18년7월13일】

아젤리아 2018. 7. 16. 14:57

 

 

 

 

 

                                                                                    나의엄마.나의동생.그리고..

 

강원도 태백 동생들과내가 태어났는 곳!!

그리고,친정 엄마의 추억이 묻어 있는 곳!!

40년전 추억을 거슬려 1박2일 태백 과거여행길...

오로지 우리들만의 추억들 더듬어 여행길에 오른다

 

18.7월13~14일

구문소&석탄박물관&철암탄광역사관&태백고생대자연박물관


요즘,

월~금욜 헬스장 에서 보내다시피 하니 블로고 올 시간이 부족한다.

여려님들의 따쓰한 댓글에 감사할 따름이다.

 

 

 

 

 

 

 

타임머신 타고 떠나보자, 신나는 추억여행

강원도 폭염36도 날씨속에 친정엄마 여행길에 맞추다 보니

일정을 요래  잡앗다

참으로 오랜만에 핏줄로 맺은 형제간의 여행길..

감회가 남다른다

 

 

 

 

 

 

 

 

 이번 태백 추억 여행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곳을 꼽으라면 장소로는 철암탄광역사촌을 들겠다.
철암탄광역사촌에 이어 방문한 철암 벽화마을까지 기대했던 것보다 너무너무 좋았고, 또 그래서 큰 아쉬움을 느꼈던 곳이다.

.

.
대만에서 금 탄광촌 관광지로 유명한 진과스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철암탄광역사촌에서 내가 느꼈던 것과 비슷한 감정을 느끼리라 생각된다.
태백시내에서는 조금 떨어져있지만 365세이프타운이나 구문소를 방문할 예정이라면 꼭 철암탄광역사촌을 함께 방문하길 권하고 싶다. 예정에 없더라고 추가하면 너무나 좋을 곳으로 추천하고 싶은, 요즘같이 맑은 날이면 그 또한 더없이 좋지 않을까!

 

 


 

 

 

 

 

 

 

 

 

 

 

 

 

 

 

철암탄광역사촌

철암탄광역사촌은 옛 탄광마을을 그대로 보존해놓은 생활사박물관이다

과거 석탄산업의 잊혀져 가는 산업의 유산,생활상,역사의 흔적들이 검은 도시 철암에서 되살아난곳이다.

 

 

 

 

 

 

 

 

 

 

 

 

 

 

 

 

 

 

호과거 석탄산업의 잊혀져 가는 산업의 유산, 생활상, 역사의 흔적들이 검은 도시 철암에서 되살아난다.


 

 

 

 

 

 

 

 

 철암탄광역사촌으로 활용되고 있는 건물에 대한 층별 소개가 안내되어 있다.
사료전시관부터 사진갤러리, 복합문화공간까지- 들여다보면 생각지도 못했던 공간을 만나게 된다.

 

 

 

 

 

 

 

 

 

 

 

 

 

 

 

 

 

 

 

 

 

 

 

 

 

 

 

 한양다방 갤러리 까치발의 방이 먼저 등장한다.
까치발 건물 모형 위에 철암탄광역사촌 사진을 올려둔 설치미술인듯하다.
안쪽으로 들어가면 에로틱 갤러리까지 등장!


 

 

 

 

 

 

 

 

 상상속으로…

에로틱한 주제를 설치미술로 표현한 '에로틱 인스톨에리션'을 통해 만남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고, 그 속에서 상상하고 소통하며 조화를 표현한다.
개개의 요소들은 겉으로는 보았을 때 무엇을 의미하는지 인지되기 힘듭니다. 요소 요소들이 모여 의미 있는 화합을 이루었을 때 큰 흐름과 그림을 만들어 내다

 

 

 

 

 

 

 

 

 

 

 

 

 

 

 

 

 

 

 

 

 

 

 

 

 

 


 

 

  철암탄광역사촌  여행자가 머물며 힐링하고, 예술가들이 마음껏 창작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동체 거점 공간


 

 

 

 

 

 

 

 

 봉화식당 건물 계단으로 눈을 돌리면 무려 단란주점 젊음의 양지와 지하로는 산울림이라는 간판이 눈에 띈다.
산울림으로 내려가면 석탄의 방을 볼 수 있고 젊음의 양지로 올라가면 태백의 설경을 체험해볼 수 있다.


불을 품은 검은 돌, 석탄을 오브제 형태로 연출했다는 설치미술- 처음에는 뭐야? 했다가도 그 느낌이 전해져 온다.
불을 품은 석탄의 이미지를 공간을 가로지르는 붉은 라인으로 표현하여 석탄이 인간에게 주었던 불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고 한다.


 

 

 

 

 

 

 

 

 

 

 

 

 

 

 

 

 

 

 젊음의 양지에 들어서면 어두운 방 한쪽 벽이 비스듬하게 내려있고 그 중간중간이 원형으로 뚫려있는데 뭐지하고 고개를 들이밀면 '오래된 풍경'이 펼쳐진다.
 태초에 자연에 묻힌 태백산과 철암의 모습을 표현했다고 한다. 신기한 경험!! 철암탄광역사촌을 돌아보면 볼 수록 태백 여행자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어졌다

 

 

 

 

 

 

 

 

 

 

 

 

 

 

 

 

 

 

 

 

 

 

 

 

 

 

 

 

 

 

 

 

 

 

 

 

 

 

 철암 시장을 재구성해 놓은 2층! 옛 느낌 그대로 구현해 놓은 간판이 인상적이었다.

 

 

 

 

 

 

 

 

 

 

 

 

 

 

 

 

 

 

 

 

 

 

 

 

 

 

 

 

 

 

 

 

 

 

 

 

 

 

 

 

 

 

 

 

 

 

 

 

 

 

 

 

 

 

 

 

 

 

 

 

 

 

 

 

 

 

 

 

 

 

 

 

 

 

 

 

 

 

 

 

 

 

 

 

 

 

 

 

 

 

 

 

 

 

 

 

 

 

 

 

 

 

 

 

 

 

 

 

 

 

 

 

 

 

 

 

 

호남슈퍼 2층 장미상회 옆으로 돌아가면 전망대로 올라가는 계단이 나온다. 여기에 광부아저씨 한 분!
3층 높이의 전망대에서는 선탄장부터 철암역까지 볼 수 있었다.

전망대로 통하는 문이 2곳이 있는 것 같은데 장미상회 옆 계단 말고 다른 계단으로 내려가면 또 다른 사진전을 만나볼 수 있다.


 

 

 

 

 

 

 

 

 마을 북쪽 백산과 경계부근의 철도변에 높이 20여 m, 넓이 30여 m되는 큰 바위가 서 있는데 그 바위에 쇠 성분이 많아 쇠바위라 한다.
그 바위에서 돌을 떼내어 녹여 쇠를 얻기도 하였는데, 그 바위 때문에 마을 이름을 쇠바위마을이라 하였다.

쇠바위마을을 한자로 표기하니 쇠 철(鐵), 바위 암(巖), 마을 리(里)하여 철암리(鐵巖里)로 부르게 되었다.
새뜨리 부근에 기차역이 생기면서 갑자기 마을이 커지자 그 곳을 철암의 본 마을로 착각하여 본래의 마을은 '웃철암(上鐵巖)'으로 부르고 새뜨리 부근을 철암이라 부른다

 

 

 

 

 

 

 

 

 '광산개발 초기에 철암은 구하기 손쉬운 재료로, 산 언덕에 돌을 깔고 집터를 만들고, 판자를 얼기설기 붙여 비바람을 피했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좁은 골목길에 옹기종기 모여 사는 광산마을이 형성되었다'고..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던 사진만 찍는다고 했는데 거의 다 찍어온 것 같아. 요새 이런 느낌이 참 좋다


 

 

 

 

 

 

 

 

 

 

 

 

 

 

 

 

 

 

 

 

 

 

 

 

 

 

 

 

 옛날에 쓰던 물건들도 전시되어 있다.

 

 

 

 

 

 

 

 

 

 

 

 

 

 

 

 

 

 

 

 

 

 

 

 

 

 

 

 

 

 

 

 

 

 

 

 

 

 

 

 

 

 

 

 

 

 

 

 

 

 

 

 

 

 

 

 

 

 

 

 

 

 

 

 

 

 

 

 

 

 

 

 

 

 

 

 

 

 

 

 

 

 

 

 

 

 

 

 

 철암탄광역사촌 곳곳에 설치되어 있었던 광부 동상들

 

 

 

 

 

 

 

 

 

 

 

 

 

 

 

 

 

 

 

 

 

 

 

 

 

 

 

 

 

 

 

 

 

 

 

 

 

 

 

 철암탄광역사촌에서 가장 먼저 소개받은 곳은 천변에 위치한 근대산업의 유산, 까치발 건물이다.
까치발 같이 가느다란 기둥을 세워 평수를 늘린 건물을 칭한다.

 

 

 

 

 

 

 

 

 

 6,70년대 석탄산업 전성기에는 훨씬 많은 까치발 건물들이 있었지만 현재는 여기 11동 남은 것이 전부라고 했던 것 같다.
이 또한 누군가가 지키자고 나서서 지킬 수 있었던 거라고... 그렇게 태백시는 까치발 건물 11동을 외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5채의 건물 안을 박물관 및 유명작가의 설치미술작품을 중심으로 하는 아트하우스로 조성했다.


 

 

 

 

 

 

 

 

 

 

 

 

 

 

 

 

 

 

벽화 퀄리티가 어마어마하다.
초입에서는 광부님들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내가 지금껏 보아온 벽화마을 중 가장 인위적이지 않고 지역의 특색을 가장 잘 나타내는 그림을 그려놓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림이 마을 사람들 삶에 녹아 들어 있었고, 이곳의 삶이 그림에 녹아 들어있는 듯했다.

 

 

 

 

 

 

 

 

 

 

 마을 곳곳에 광부 미니어처 찾는 재미도-

 

 

 

 

 

 

 

 

 

 

 

 

 

 

 

 

 

 

 

 

 

 

 

 

 

 

 

 

 아마 막장 일을 마친 광부의 일상을 그려낸 벽화가 아닐까.

 

 

 

 

 

 

 

 

 

 어르신들만 살고 계신 작은 마을이었는데 너무나 사랑스러운 곳이었다.
오며 가며 마주치는 어르신들과 인사하며 다녔는데 낯선 외지인들을 따뜻하게 반겨주셔서 넘 감사했다.

 철암탄광역사촌에 간다면 요 벽화마을도 한번 들러보길, 단 이곳은 관광지가 아니라 사람들이 살고 있는 마을이라는 점만 기억하고 구경하면 좋을 것 같다.

 

 

 

 

 

 

 

 

 

 

 

 

 

 

 

 

 

 

 

 부모의 애환이 느껴지는 벽화도 보인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철암역 인근 남동마을벽화마을로 조성했다. 석탄산업이 번성했던 시절 탄광마을의 모습을 벽화로 재현해놓은 것이다

 

 

 

 

 

 

 

 

 

 

 

 

 

 

 

 

 

 

 

 

 

 

 

 

 

 

 

 

 

 

 

 

 

 

 

 

 

 

 

 

 

 

 

 

 

 

 

 

 

 

 

 

 

 

 

 

 

 

 

 

 

 

 

 

 

 

 

 

 

 

 

 

 

 

 

 

 

 

 

 

 

 

 

 

 

 

 1940년대 태백 지역의 무연탄을 전국으로 실어나르는데 큰 역할을 하던 철암역은 1990년대 들어 석탄산업이 침체되면서 함께 쇠락의 길을 걷게 됐다.
이후 매표 업무가 중지됐을 정도로 이용객이 크게 줄었던 철암역은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 V-트레인이 이곳을 종점으로 삼고, 이듬해 역사 인근에 탄광역사촌을 조성하면서 지금은 '6만 관광 마을'로 재탄생했다.

 

 

 

 

 

 

 

 

 

 

 

 

 

 

 

 

 

 

 

 

 

 

 

 

 

 

 

 

 

 

 

 

 

 

 

 

 

 

 

 

 

 

 

 

 

 

 

 사방이 온통 높은 산들이 품어낸 강원도 태백은 산소도시로 통할만큼 천정지역의 매력이
우리나라 어느 여행지 보다 짙게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