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과여행▒/2019년앨범

경북 경주여행/역사와 꽃이 만드는 봄의 풍경, 경주 오릉(慶州 五陵) 목련꽃 여행 【19년3월21일】







역사와 꽃이 만드는 봄의 풍경

경주 오릉(五陵) 목련꽃 여행

19.3.21.목요일.


아름다운 봄날에..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운봄날이 더욱 화안하여라.

아름다운 봄날에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자연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행복한 여정이 아닌가!!

하루 셋곳 첨성대,대릉원,오릉(五陵) 목련과의 사랑에 빠진날이다

앞전 첨성대 목련 포스팅 이어 오릉  이어 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목련은 봄꽃 중에서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는 편이다.
그저 따스한 봄볕 아래 이따금 드문드문 집 마당쯤에 서서 후덕한 인상으로 소담스러운 봄의 기운을 알려줄 뿐이다.


하지만, 경주의 목련을 본다면 마음이 달라질 것이다.
경주는 벚꽃도 좋지만 목련이 정말 화사하게 꽃송이를 터뜨리는 고장이다.









역사의 고장,
꽃의 고장 경주로 떠나보도록 한다.

오전에 봄날 이였지만
오후들어 바람이 불고 좀 을씨년스러운 날씨지만 하얀목련을 구경하는데는 괜찮은 듯 한다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한다.
이 꽃이 아름답게 핀 곳을 꼽으라면 경주 오릉(五陵)이 빠지지 않는다.

경주 오릉에 핀 백목련은 화려하지 않지만 숭덕전 기와와 잘 어우러진다. 오릉의 담장과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숭덕전 주변에 옹기종기 피어난 목련은 하얀 꽃구름을 만들고 있다.









경주의 오릉은 이름에 '오'자가 들어가서 다섯 명의 왕이 모셔졌을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기 쉽다.
하지만 그건 오산이다.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 알영부인을 마지막으로 4명의 신라초기 박씨 신라왕들의 능이 모여 있는 곳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오릉에 대한 설화를 엿볼 수 있다.


1대 박혁거세 왕이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에 승천하였다가 7일 만에 유체가 다섯으로 나누어져 땅에 떨어졌다.
이를 모아 장사 지내려 하였으나 큰 뱀이 돌연 나타나 방해했다. 어쩔 줄 몰라 하다 다섯 몸뚱어리를 각각 묻어 오릉이 되었다.
큰 뱀이 출현했다 하여 사릉(蛇陵)이라 불리기도 한다.











오릉 담장 초입부터 에둘러 심어진 목련이 활짝 웃고 있다.
숭덕전 담벼락에 휘황찬란한 함박꽃이 온통 바닥을 희게 물들였다.

박목월의 <4월의 노래>처럼 목련 꽃 그늘 아래 앉아 시를 읽기도 하고 하얀 목련이 만든 구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불고도 싶다.





















경주 오릉에 피어나는 목련의 화려함도 못지않다.
오릉은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와 알영왕비, 그리고 신라 세 왕릉이 모여 있는 곳.










목련은 오릉의 담장과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지은 숭덕전과 후손들이 기거하는 그 곁의 살림집 주변에 피어난다.
건물 둘레에 심은 목련은 활짝 꽃을 피우면 숭덕전을 아예 꽃구름 속에 가둬다

큼지막한 목련 꽃잎이 한 장 한 장 떨어질 때면 주위는 마치 흰 융단을 깔아놓은 듯하다.










동네 마실 나가듯 가벼운 마음으로 다시 찾은 경주, 오릉에 찾아온 포근한 봄을 만났다

경주 오릉 목련나무 그 고운 모습을 숨길 수는 없다.





































경주 오릉목련이 한창 이다 ​

의 담벼락 조차 멋짐이다


















































가장 좋아하는 포인트이다.
한국적인 치맛자락이 아래위로 연결되는 뒤배경이 좋아서 항상 찍는 곳이다




















햇볕 드는 곳에 꽃들은 역시나 개화가 빠르다.

식물도 동물도 사람도.. 환경에 따라서 좌우되는 이치이다.










시조왕의 위패를 모시는 숭덕전에도 목련





























경주 가볼만한곳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사진 이곳의 매력은 다른 곳에 비해 높지는 않다.
아마 벚꽃이 피면 오히려 이곳은 더 조용할 터.. 그래서 오히려 사진 찍기가 좋다.







































개인적 생각이지만 오릉의 목련꽃이 아름다운 건 뒷 배경 때문이다.
통도사 홍매화처럼 한국적인 전통의 멋이 배경으로 깔리니 말이다.




















파란 하늘은 하얀 목련을 더 아름답게 한다.











































































































오릉내에는 제법 깊어 보이는 연못이 있다
그 주위에도 하얀목련이 많이 피어있다


그 연못가엔 내부가 완전히 말라버린 느티나무가 한 그루 있었는데
그 나무에도 새잎이 돋아나고 있음을 보며 새삼 생명의 위대함을 다시한번 느낀다






















































































































































































































































































































































































































빛나는 아름다운 봄날에 3월
가슴에 행복과 기쁨이라는 꽃들이 가득 피어나길 소망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