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과여행▒/2021년앨범

경북 경주 서출지(書出池) 배롱나무꽃_천 년 못에 담긴 신라의 전설 【21년7월23일】

 

 

 

 

경북 경주 서출지(書出池) 배롱나무꽃_천 년 못에 담긴 신라의 전설 

【21년7월23일】

 

 수많은 전설과 역사 유적들이 펼쳐져 있는 신라 문화의 집결체, 
경주 남산. 천 년 역사를 자랑하는 아름다운 풍광으로도 유명한 이곳에 신라의 전설을 간직한 연못이 있다. 

소지왕 앞에 나타난 말하는 쥐와 까마귀. 쥐의 말대로 까마귀를 쫓아갔더니 연못 안에서 노인이 나타나 서찰 하나를 건넸다. 
궁궐로 돌아간 왕이 서찰에 적힌 내용대로 거문고집을 활로 쏘았더니 흉계를 꾸미던 중과 궁주가 죽었다고 한다. 

못에서 글이 나와 계략을 막았다 하여 서출지(書出池)라 이름 지어진 연못. 신라 천 년의 전설을 품은 경주 서출지를 소개한다

 

 

 

 

 

 

 

 

 

 

 

 

 

 

 

경주에는 배롱나무꽃이 이쁘게 피는 곳이 많은데,

그 중 한 곳이 바로 서출지 이다.

 

 

 

 

 

 

 

 

 

서출지는 삼국시대부터 있어온 연못이다
정자와 어우러진 연꽃과 배롱나무꽃이 참 고운 곳이다

 

 

 

 

 

 

 

 

 

 

 

 

 


연못이 그리 크지 않으나 한바퀴 둘러서 산책하는 맛은 좋으다
사람들이 많지 않아서 조용하고 한적한 분위기도 좋구..

 

 

 

 

 

 

 

 

 

 

 

 

 

 

한 여름에 피는 꽃들이다 보니, 
너무 더워서 땀이 흐를 정도이다.
오후 늦게나 아침 일찍 오시는 것을 추천드린다

 

 

 

 

 

 

 

 

 

 

 

 

 

 

 

남산동 입구에 아름다운 연못 서출지(書出池)
 '편지가 나온 연못'이라는 뜻이다. 이 연못에 대한 전설이 삼국유사에 나온다. 

 

서기 488년 신라 21대 소지왕이 정월 보름날 행차에 나섰을 때다.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말했다. "이 까마귀 가는 곳을 살피십시오." 왕은 장수를 시켜 따라가게 했다.
 
동남산 양피촌 못가에 이르러 장수는 그만 까마귀를 놓쳐 버렸다. 
이때 갑자기 못 가운데서 한 노인이 나타나 장수에게 봉서(封書)를 주며 말했다.
 "이 글을 왕에게 전하시오." 왕에게 전해진 봉투에는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보지 않으면 한사람이 죽는다'라고 적혀 있었다. 
망설이는 왕에게 신하가 말했다. "두 사람은 평민이고 한 사람은 왕을 가리키는 것이니 열어 보아야 합니다." 왕은 봉해진 편지를 열었다. 

거기에는 '사금갑(射琴匣)' 세 글자가 쓰여 있었다. '거문고 갑을 쏘아라.' 왕은 왕비의 침실에 세워둔 거문고 갑을 향해 활시위를 당겼다. 거문고 갑 속에는 왕실의 승려가 죽어있었다. 승려는 왕비와 짜고 소지왕을 해치려 한 것이었다. 왕비는 곧 사형되었으며 왕은 죽음을 면했다. 

 

 

 

 

 

 

못은 장축이 86m, 단축이 50m에 이르는 타원형이다. 둘레는 200m 정도 된다. 

 

 

 

 

 

 

 

 

 

 

 

 

 

 

 

 

이 연못은 인위적으로 꾸며진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겨난 것이라 한다. 

한 사람이 살고 두 사람이 죽은 이후 매년 정월 첫 쥐날인 상자일(上子日)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행동을 조심하며, 정월 보름은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으로 까마귀에게 공양하는 풍속이 생겼다

 

 

 

 

 

 

 

 

 

 

 

 

 

 

 

 

 

 

 

 

 

 

 

서출지에는 나무 사이에 새도 많아서 새를 보러 오시는 분도 많으시고,
항상 꽃 사진을 찍을 때에는 배경이 중요한데 신라의 도시 경주이니만큼, 사찰이나 유적지를 배경으로 담는 사진들을 좋아한다. 

 

 

 

 

 

 

 

 

 

 

 

 

 

 

 

 

 

 

 

 

 

 

 

 

 

 

 

 

 

 

세상 근심 다 태울 듯 붉은 꽃 핀 배롱나무
천년을 지나서도 피를 쏟듯 꽃을 피워
금갑 속 억울한 죽음 여름내 울고 있다

 

이차돈의 흰 피가 온 서라벌을 적시고
불국토 신라 땅에 동종소리 은은한데
향 피워 불경을 읽던 승려는 보이지 않고

 

 

 

 

 

 

 

 

 

 

 

 

 

 

붉은 배롱나무 꽃이 핀 서출지(書出池)의 여름은 바람 한 점 없이 고요하다, 

 

 

 

 

 

 

 

 

 

 

 

몸을 사르듯 피어나는 배롱나무 꽃을 옆에 두고 오래된 푸른 소나무들은 묵묵히 침묵을 지키고 서있다. 
연못가 단아한 이요당(二樂堂)의 긴 그림자도 연꽃잎 위에 조용히 내려 앉아 있다.

 

 

 

 

 

 

 

 

 

 

 

 

 

 

 

 

 

 

올해는 유난히 장마가 길어 더운 여름 하늘을 물들이는 서출지 배롱나무 꽃구경이 늦었다. 
못 한가운데 늘 만발하던 연꽃은 멀리 한두 송이만 피어있고 연못가 배롱나무는 막바지 꽃잎을 하나둘 피워올리고 있다.

 

 

 

 

 

 

 

 

 

 

 

서출지 연못에 조선 헌종 5년(1664년)에 임적이라는 사람이 물위로 누마루가 돌출되게 팔작지붕의 건물을 지어 이요당(二樂堂)이라 하고 학문을 벗 삼으며 자연을 즐겼다고 전한다.

 

 

 

 

 

 

 

 

 

 

 

 

 

 

 

 

 

 

 

 

 

 

 

 

 

 

 

 

 

 

동남산의 수려한 경관이 첩첩이 펼쳐져있는 곳에서 임적은 공부를하며 때때로 심신을 달래기 위해 동남산의 운치를 즐기며 시를 짓기도 했으리라. 현재 이 건물은 폐가가 되기는 했으나 서출지의 서북쪽 물가에 소박하면서도 우아한 자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연못의 경관을 한층 더 아름답게 해주고 있다.

 

 

 

 

 

 

 

 

 

 

 

 

 

 

 

 

 

 

 

 

 

 

 

이요당(二樂堂) 건물 앞에는 수령이 오래된 배롱나무가 붉은 꽃을 피우고 서있다. 

옛 선비의 처소와 절간에서는 배롱나무를 심어 백일 동안 피는 꽃처럼 학문과 법문에 끊임없이 정진하고 껍질을 벗는 가지처럼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가지도록 노력했다고 한다. 지금은 복잡한 현대사회에 부대끼는 여행객들의 지친 마음에 생의 불씨를 되살려 다독여주는 꽃이다. 

 

 

 

 

 

 

 

 

 

 

 

 

 

 

 

 

천오백년 전 <불교 전파를 두고 벌어진 사금갑(射琴匣)속의 죽음>처럼 아직도 세속의 이해관계는 첨예하여 이전투구가 계속되나 자연은 변함없이 꽃피우고 시들기를 늘 한결같이 하고 있다.

 

 

 

 

 

 

 

 

 

 

 

 

 

 

 

 

 

 

 

 

 

 

 

못의 동쪽 제방에는 수령 200년 이상 된 소나무와 수백 년 된 배롱나무 3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북쪽 배수로 양쪽에는 향나무 고목이 서로를 향해 몸을 기울이고 있다. 
그 기울임이 너무 깊어 곧 하나가 될 것만 같다. 서쪽 물가에는 이요당(二樂堂)이라는 정자가 들어서 있다. 
조선 현종 5년인 1664년에 임적(任適)이 지은 것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ㄱ자형 건물로 호안에 걸쳐 쌓은 석축 위에 올라앉아 누마루 기둥을 연못에 담그고 있다. 건물 이름은 '요산요수(樂山樂水)'에서 취했다.

 

 

'산과 물을 좋아한다'는 의미다. 임적은 가난한 사람들을 많이 도와 덕망이 높았던 인물이라 한다. 
가뭄이 심할 때면 물줄기를 찾아 이웃 마을까지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했다 전한다.

 

 

 

 

 

 

 

 

 

 

 

 

 

 

 

 

 

 

 

 

 

 

 

 

 

 

 

 

 

 

 

 

 

 

 

 

 

 

 

 

 

 

 

 

 

 

 

 

 

 

 

 

 

 경주 서출지 이요당과 배롱나무 

 

 

 

 

 

 

 

 

 

 

 

 

 

 

 

 

서출지는 소나무와 배롱나무,

연꽃의 풍경이 멋져 조용히 거닐기 좋은 곳이다

 

 

 

 

 

 

 

 

 

 

 

 

 

 

 

 

배롱나무꽃이 핀 장소들이 가볼만한 곳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카메라를 들고 진분홍으로 만개한 고택등으로 여행을 떠나볼 충동이 강하게 이는 여름이다.

 

 

 

 

 

 

 

 

 

 

 

 

 

 

 

 

 

배롱나무 꽃은 국내의 피는 장소에 따라 7~8월부터 활짝 개화해서 그 상태가 가을까지 쭉 간다. 
사실은 꽃 한 송이가 그토록 장기간 유지되는 것은 아니고 작은 꽃이 뭉치듯이 원추상 꽃차례를 이뤄 시기를 달리해서 바통터치 하듯 피고 진다. 그 과정이 개화상태가 100일이나 가는 것처럼 느껴져 백일홍이라 한다. 

 

 

 

 

 

 

 

 

 

 

 

 

 

 

 

 

 

인간이 가진 권력이나 재물의 허망함, 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화무십일홍이 있다. 
꽃이 제아무리 예뻐도 10일밖에 못 간다는 뜻이다. 잘나간다고 과도하게 뻐기지 말고, 살기 힘들다고 너무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열정적으로 이글대는 태양 아래 오곡백과가 여물고 모든 생물이 생리활동을 왕성하게 하던 여름이 지나면 바람이 선선한 가을이 온다. 
그때는 여름에 대한 추억과 감회가 떠오를 것이다. 무더위를 견디며 열심히 살아온 시간에 대한 회한과 그리움. 이게 바로 배롱나무에 깃든 꽃말이 아닐까?
 

 

 

 

 

 

 

 

 

 

 

 

 

 

 

 

 

경북 지역에서는 경주 서출지, 안동 하회마을 뒤편의 병산서원, 대구 하목정 등이 유명하다. 
강원도 강릉 오죽헌과 선교장, 충남 공주 계룡산 자락의 신원사와 계백장군 유적지,논산 돈암서원에도 배롱나무꽃이 질펀하게 핀다.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됐으며 줄기가 꽤 높고 수형도 펑퍼짐해서 아름답다.
전북 순창 구암정과 경남 함안 고려동 유적지도 배롱나무를 보러 가라고 추천할만한 여행지다.

 

그밖에 양산 통도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해남 두륜산 대둔사, 영남알프스 자락의 밀양 표충사, 구례 화엄사, 보은 법주사, 김천 직지사 등 유명한 사찰에도 배롱나무가 조금씩은 있다.

 

 

 

 

 

 

 

 

 

 

 

 

 

 

 

 

 

 

 

 

 

 

 

 

 

 

 

 

 

 

 

 

 

 

 

 

 

 

 

 

 

 

 

 

 

 

 

 

 

 

 

 

 

 

 

한여름의 이글거리는 햇살에도 지칠 줄 모르고 선홍색 꽃이 만발하는 나무가 바로 배롱나무

 

 

 

 

 

 

 

 

 

 

 

 

 

 

 

 

 

 

 

 

 

 

 

 

 

 

 

 

 

 

 

경주 남산동 남산 기슭 통일전 옆에 작고 아담한 연못과 정자( 이요당 二樂堂)가 있다. 
 특히 한여름 연잎이 가득한 못 주위를 따라 배롱나무 분홍꽃이 만발하고 솔숲 운치도 좋아 밤낮 없이 사람 발길이 모인다.

 

 

 

 

 

 

 

 

 

 

 

 

 

 

 

정월 대보름날 오곡밥을 지어 먹는 유래가 있는 사금갑 설화(射琴匣 說話)속의 못, 서출지(書出池)이다. 
 신라 눌지계의 마지막 왕인 신라 제21대 소지(炤知) 마립간 (비처왕 毗處王) 때 북으로 고구려. 말갈 등 외세 침략이 잦아 적국 백제와 동맹을 맺었으나 하늘도 저버렸는지 자연재해 마저 끊이질 않는다. 
 장창호 작가는 금성에 깊은 가뭄과 홍수가 이어진 488년 정월 흉흉해진 민심을 살피려 나선 비처왕의 어느 여정을 흥미진진한 스토리로 풀어 가고 있다.

 

 

 

 

 

 

 

 왕이 행차 길에 까마귀가 울어 쫓아 가다 이른 못(천천정 天泉亭) 한가운데에서 노인이 나타나 봉투를 주었는데 겉봉에 묘한 글이 적혀 있었다.  "열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열어 보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 쓰여 있어 왕이 봉투를 열지 않으려 하자 일관(日官)이 "두사람은 보통 사람이요 한 사람은 임금이니 열어 봐야 한다"고 조언을 한다. 
 

결국 왕이 봉투를 열어 보니 “거문고갑(琴匣 : 거문고 상자)을 쏘라.”고 쓰여 있다. 
 이내 궁으로 돌아가 활로 거문고갑을 향해 쏘니 그 안에 왕비(선혜부인)와 승려(묘심)가 있었으니 왕은 정을 통하고 흉계를 꾸민 이들을 처형한다.
 묘심은 알고 보니 고구려 첩자 였다.

 

 

 

 

 

 

 

 

 

 

제19대 눌지왕 때 신라에 숨어든 고구려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불교를 전파하고 제23대 법흥왕 때 되어서야 승려 이차돈의 순교로 공인되기 전에 이미 궁궐 내전에 법당이 있고 법당을 관리하는 승려가 있었다는 사실도 함께 알수 있다.
 훗날 이 일을 알려준 까마귀를 위해 매년 정월 보름날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 지내는 풍속이 생겨났다. 현재 못 옆 팔작지붕 정자는 조선시대 청렴했던 한 선비(임적 任適)가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 세운 집으로 요산요수(樂山樂水)에서 이름을 따 '이요당'이라 불렀다고 한다.   

 

 

 

 

 

 

 

 

 

 

열흘을 붉게 피는 꽃이 없다지만 100일 동안 피고 지기를 반복하며 여름을 나는 배롱나무꽃을 백일홍이라 부른다.

 

 

 

 

 

 

 

 

 

 

 

 

 

 

 

 

 

경상북도에서도 사찰이나 서원에 오래된 배롱나무가 많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경주 서출지와 기림사, 안동 병산서원, 상주 옥동서원 등에는 수백 년의 세월을 이긴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꽃으로 뭇사람들의 시선을 지금 유혹하고 있다.

 

 

 

 

 

 

 

 

 

 조선 후기 유박이 쓴 원예서 「화암수록」에는 백일홍의 꽃말이 '속우'(俗友·속된 벗)다. 

일반적인 꽃말은 '떠나간 벗을 그리워함'이다.

 

 

 

 

 

 

 

 

옛 선비들은 서원의 백일홍을 바라보면서 다정한 벗을 추억했을지도 모른다. 절에 배롱나무가 많은 연유는 반질반질하고 얇은 껍질로 겨울을 나듯이 수행하는 스님들도 욕망을 훌훌 벗고 정진하라는 뜻이거나 불법(佛法)에 환한 꽃을 공양하려는 불심 때문일듯 하다.

 

 

 

네이버블로그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