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여행/배롱나무꽃이 아름다운 종오정[從吾亭] 【21년7월23일】
무더운 여름이 되면 경주 종오정에는 배롱나무의 붉은꽃이 보는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운치있는 고택에 아름답게 피어있는 붉게 타오르는 배롱꽃.
그리하여 나는 뜨거운 햇살을 뚫고 경주 손곡동에 있는 종오정을 찾아갔다.
종오정[從吾亭] 은 조선 영조때의 학자 문효공 최치덕의 유적지로 경북기념물 제 85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효공은 숙종 25년에 태어나 영조 46년, 72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후학양성에 힘을 기울여 70여 명의 제자를 길러냈다.
또한 학문연구에 몰두하여 역대시도통인(歷代詩道統引), 심경집(心經集)集) 등 많은 책을 썼다.
종오정 일원은 종오정과 귀산서사, 일성재 등 세 채의 한옥, 연당과 수령 300년의 향나무, 그리고 소나무, 배롱나무가 어우러져 있다.
그 풍경은 한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 아름답다. 특히 여름에는 연꽃과 배롱꽃이 만발하여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입구에 차를 세우고 나서면 개화의 절정을 맞은 배롱꽃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배롱나무는 대부분의 꽃들이 숨을 죽이는 한여름,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과 머리를 맞대고 당당하게 피어난다
붉은 배롱꽃을 보며 이 무시무시한 더위를 견뎌낼 힘을 조금 얻는다.
한결 여유로워진 마음으로 종오정에 들어선다. 나지막한 담, 대청마루, 그리고 정겨운 흙냄새...
소박하고 아담한 건물들을 이리저리 살피며 거니는 마음은 시나브로 편안하고 넉넉해진다.
아름답게 피어난 배롱나무꽃 으로 가득한 연당을 마당으로 들여놓은 종오정.
종오정은 앞면이 네칸, 옆면이 두칸 규모이다.
올해는 종오정 투수객 때문인지 못들어 가게 막아 놓아 한적한 시간대 살짝 들어가서 담아보았다
낮은 담과 대청마루, 그리고 흙마당
고택이 주는 예스러움과 정겨움이 더위에 지친 무더운 날씨 편안하고 여유롭게 해준다.
선생이 직접 심었다는 수령 300년의 향나무도 아담하고 운치있는 정원에서는 배롱꽃과 함께 어우러져 있다
귀산서사
종오정은 조선 영조때 자희옹 최치덕이 1747년에 지은 정자다.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좌우 양쪽에는 방이 있다. 팔작지붕에 양쪽에 가적지붕을 달아 위에서 보면 지붕 평면이 '工' 자 형태를 이룬 점이 특이하다. 둥근기둥을 사용했고 기단과 주초는 신라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탑재를 주로 사용했다.
기둥의 머리 부분은 여느 정자와 달리 장식을 하지 않은 무익공으로 처리했다. 주인의 소탈한 성품을 드러내는 듯 하다. 정자에는 3개의 현판이 있다. 정면 처마 아래에는 '종오정' 정자안 동쪽 방에는 '무송와(撫松窩)' 서쪽 방에는 '지간헌(持竿軒)' 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그 옆에는 누정기도 걸려있다.
3개의 현판 글씨와 누정기는 당시 경주부윤으로 왔던 이계 홍양호가 썼다. 홍양호는 영조 당대의 대학자였다. 대사헌 평안도 관찰사 이조판서 사헌부와 사간원의 대사헌을 지냈다. 영조실록과 국조보감 동문휘고 등의 편찬에 참여했다.
홍양호는 '종오정기'에서 최치덕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과거 공부를 마다하고 냉수를 마시고 글을 읽으며 이곳에 정자를 지어 손수 꽃나무를 심고 못 위에 물을 끌어 들여 흐르게 하고 그 위에 한 칸 정자를 지었다. 얼굴에 난 수염을 보고 맑고 밝아 은은한 산인의 기미가 있었다"홍양호의 현판 글씨와 기문에 답하듯 최치덕도 홍양호에 대한 시를 여럿 썼다.
삼신산의 여섯 자라가 기이하단 말 들으니
성상이 천년을 화해서 거북이 되었다 하네
화표엔 학 돌아 간 옛돌기둥만 남아 있고
왕경엔 신선 떠난 바둑돌만 남았구나
봄 지나도 지지 않는 꽃
밤 고요할 때 담월과 의좋게 지내렴인가
이래서 한평생 좋은 경치만 구경하니
계산도 금수도 아름답고 기괴하여
걸음 지지했다네
- 이계 홍부윤의 반구대 운에 화답하다-
정자 이름은 논어의 '종오소호(從吾所好)'에서 나왔다. "공자가 말했다. 부자가 되는 길이 추구할 만한 것이라면 나는 말의 채찍을 잡는 일이라도 마다하지 않겠다. 그렇지 않다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리라.(富而可求也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如不可求, 從吾所好)" 최치덕은 정자이름을 '종오정'으로 한 까닭을 이렇게 밝혔다.'오직 좋아하는 것을 따름일세. 물에 닿으면 낚시질하고 산에 오르면 고사리 캐며 버들에 물어보고 꽃찾아 음풍농월한다네.'
무송와는 '소나무를 어루만지는 집'이라는 뜻이다. '무송와명'에서 말년의 소회를 담담히 밝히고 있다. '칠순 몇이드뇨 남은 날이 많지 않네. 말하려니 할 말이 없어 모두 찬양하고 감탄하노라'라고 적고 있다. '지간헌'은 '낚시대 들고 다니는 집'이다. 그는 '지간헌명'에서 '낚시대 드리운다고 반드시 고기 낚는 것은 아닐세. 부지런히 때 마다 먼 조상 추모함이라! 아! 아이들아 내 오묘한 뜻 체험했으니 황천으로 돌아간다 해도 아무 부끄러울 것 없으리라'라고 적고 있다.
3개의 현판에는 정자의 주인인 최치덕의 삶의 철학이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최치덕은 글공부가 뛰어났다. 5세에 처음 글을 배워 12~3세에 무경칠서(송나라때 과거 응시생이 읽어야 했던 병서, 손자 오자 사마법 등)를 다 뗐으며 이후 손매호 문하에 들어가 공부를 하면서 인근에 명성이 자자했다. 그는 관찰사가 치르는 소과 등에 장원 급제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벽촌에 묻혀 음풍농월했다. '연지'라는 시에서 정자 생활을 노래했다.
못 위에 정자 짓고 손님 맞아
함께 올라 난간에 의지하니
가늘게 파문일고
창문여니 냉기 스며드네
매화 소나무 좌우에 무성한데
물고기와 새가 희롱하며 날다가 자맥질 하네
가장 사랑스러운 것은 글 논하던 깊은 밤이라
은근히 밝은 달빛 찾아보았네
최치덕은 종오정에서 학문연구에 힘을 기울여 '역대시도통인', '심경집' 같은 저서를 남겼으며 사후에 그의 업적이 조정에 알려져 호조참판에 추증되기도 했다. 후학을 양성하는데도 주력했다. 그는 72세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70여명의 제자를 길러냈는데 그 중 10명은 등과해 벼슬을 했고 9명은 진사를 지냈다. 종오정 옆에는 학생들이 숙식을 하는 일성재와 공부를 하는 귀산서사가 있는데 '학규'를 정해놓고 제자들이 따르도록 했다
"겨울에 경서를 읽고 여름에 시를 외우고 봄 가을에는 예를 배워야 한다. 행동 생각을 반드시 공경히 하고 절대로 희롱하지 말라. 닭이 세 번 울면 일어나 천지의 맑은 기운을 들이마시고 글을 외우고 있다가 날이 밝으면 세수하고 일과를 받아라. 매 식후에는 잠깐 휴식하되 곡기에 체함이 없도록 하라. 단정히 앉아 정독하다가 만약 정신이 혼미해지면 시원한 바람을 들이 마셔라."
정자에서 보면 연꽃잎 가득한 연못이 펼쳐지고,
오른쪽에는 오래된 측백나무와 못안으로 길게 누운 배롱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정면에 보이는 신라시대 석조와 석조연등 받침이 운치를 더해준다.
못둘레에는 살구나무 향나무 배롱나무들이 시립해 있고 정자 뒤는 귀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다.
전형적인 '요산요수'의 정취에다 '배산임수'의 명당이다.
연당 뒷쪽의 종오정과 귀산서사를 한바퀴 돌아본다.
이곳 종오정도 경주의 여타 조선시대의 다른 가옥들처럼 잘 치석이 된 탑재들을 초석으로 집을 지은 흔적들을 볼 수가 있다
경주 서출지 이요당앞의 석등부재며, 경주남산 국사곡의 사지에서 볼 수 있는 옛 석탑의 부재들을 사용하여 집을 짓는데 사용한 모습 그리고 민묘의 상석으로 둘레돌로 사용한 모습들을 흔히 볼 수가 있으니 말이다.
올해는 연꽃이랑은 인연이 없는지 이곳 경주 종오정의 나름 아름드리 연꽃들의 세력이 많이 약해진 모양인지
한두송이 밖에 보여주질 않는다
이곳 경주 종오정은 연꽃도 이쁘지만 연당 주위를 둘러싼 배롱나무에서 핀 꽃들도 연꽃과 더불어 정취를 한껏 더해 주는 곳이기도 하다.
경주 보문단지를 지나 손곡방향으로 길을 접어들어 가다 경주 종오정
외길을 따라 가다보면 아담한 한국의 정원풍경을 만나볼 수 있는 곳!!!
지나가는 7월 경주 종오정 연꽃과 배롱나무가 어우러진 풍경
비록 여느해 처럼 인연이 닿지 않아 풍성한 연꽃의 풍경을 볼 수는 없지만 나름 지금의 모습도 보기가 좋으다
종오정은 오래전 지어진 전통한옥으로, 정원이 아주 멋진 곳이다.
훌륭한 정원을 가진 만큼 사계절 언제나 방문해도 좋을 테지만 첫 번째로는 정원 가득 배롱나무
7월 한여름이 제일 이쁜것 같다.
이렇게 또 1년의 시간이 흘러간다.
1년이라는 시간속에 7월의 끝을 향해 가는 시간 경주 종오정이라는 곳에서 시간이라는 부피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네이버블로그바로가기
'▒산행과여행▒ > 2021년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경주 황룡탑이 보이는 배롱나무꽃 【21년8월1일】 (0) | 2021.08.06 |
---|---|
경북 경주 2일차 동방폐역- 능소화(凌宵花) 낙화【21년7월4일】 (0) | 2021.08.06 |
경북 경주 보문정(普門亭)의사계 여름 연꽃에 취하다【21년7월23일】 (0) | 2021.07.30 |
경북 경주 서출지(書出池) 배롱나무꽃_천 년 못에 담긴 신라의 전설 【21년7월23일】 (0) | 2021.07.28 |
경북 포항 송도 송림 보랏빛 맥문동 꽃길에서....【21년7월24일】 (0) | 202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