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과여행▒/2022년앨범

대구명소::육신사(六臣祠)&삼가헌(三可軒) 붉게 핀 배롱나무 꽃【22년7월17일】

 

 

 

 

 

대구 하목정(霞鶩亭),육신사(六臣祠),삼가헌(三可軒),칠곡(가실성당)

거의 모여 있기 때문에 묶어서 방문 하여도 좋다

 

 

 

 

 

 

 

 

 

 

 

 

 

2022년 7월17일 일요일
대구 달성군 육신사에 배롱나무를 담으러 다녀왔다. 
1년만의 육신사 방문인데 본진 가는길의 가로수가 훨씬 이뻐서 감탄했었는데 여전히도 육신사는 이뻣고 많은분들이 여행을 하고 있었다
여긴 사진으로 지저분하게 보이는 길이라 두눈으로 보는게 나을듯 해서 나의사진 한장으로 대신한다.

 

 

 

 

 

 

 

 

 

 

 

 

 

배롱나무 꽃이 붉다. 
지난밤 비에 가슴이 쿵 내려앉았는데 꽃은 피로의 기미도 없이 강건하게도 피어 있었다. 
대구 달성 하빈의 묘리 묘골마을 동구에서부터 '충절문(忠節門)' 현판이 걸린 사주문을 지나고, 작은 들도 지나고, 동네 초입의 사육신기념관에 이르기까지, 꽃은 내내 붉었다. 
기념관을 지나서야 생활의 기미가 확연한 집들이 하나둘 드러난다. 마을 안길이 살짝 굽어지더니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나간다. 
곧은 길 양쪽으로 덩실한 기와집들이 참으로 정돈된 자세로 잠잠하고, 길 끝에 높이 선 회화나무의 푸른 가지 아래로 육신사(六臣祠) 붉은 외삼문이 보인다.

 

 

 

 

 

 

 

 

 

 

 

 

 

 

사육신의 충절을 조금이나마 기리면서  입구쪽으로 이동한다

삼문에 들어서면 붉은 홍살문과 붉은 배롱나무 꽃과 멀리 검붉은 내삼문이 푸르름 가운데 선명하다. 왼편에는 방형의 연지가 있다. 꽃은 보이지 않고 상처 없이 깨끗한 연잎이 무성하다. 

 

 

 

 

 

 

 

 

 

 

 

 

 

육신사는 삼촌에게 왕권을 빼앗긴 어린 왕 ‘단종’의 복위를 꾀하려다 숨진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취금헌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를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玄孫)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여섯 어른이 사당 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 나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 뒤 하빈사(河濱祠)를 지어 제사를 지내다가, 숙종 20년(1694년) 낙빈(洛濱)이란 현액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3년(1866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페령으로 낙빈사가 서원(書院)과 함께 철거되었으며, 1924년 낙빈서원이 재건되면서 위패를 다시 봉안하게 되었다.

 

 

 

 

 

 

 

 

 

 

 

 

 

홍살문을 지나면 오른편으로 태고정(太古亭)이 보인다. 일시루(一是樓)라고도 하며 보물 제554호다. 육신사가 세워지기 전 이 대지에는 박일산의 아흔아홉 칸 종택이 있었다고 한다.

 

 

 

 

 

 

 

 

 

 

 

 

 

 

태고정은 종택에 딸린 정자로 1479년 처음 세워졌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일부만 남아 있던 것을 1614년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태고정(太古亭)은 박일산의 종택에 딸린 정자로 보물 제554호다.

 

이 정자는 1479년(성종 10)에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건립한 것이다.
원래는 종가 안에 붙어있던 별당 건물이었으나 임진왜란 때인 1592년(선조 25)에 불타고 일부만 남아 있었다. 이를 1614년(광해군 6)에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지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일자형 건물로, 각각 2칸씩 대청마루와 방을 꾸몄다. 대청 앞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해 놓았는데 단순한 아궁이가 아닌 부엌을 둔 것은 흔치 않은 것이다. 

 

 

 

 

 

 

 

 

 

 

 

 

 

묘리 입구부터 사육신기념관까지 
만개한 배롱나무꽃 나들이 정취 더해

홍살문 지나면 만나는 보물 태고정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육신 男후손 
박일산의 과거 종택에 딸린 정자 
방·부엌 위 부섭지붕·맞배지붕서 
추녀로 이어진 선은 고운 자태 뽐내

경내 언덕진 곳 돌계단 고적한 충의사 
육신사 전체 감상할 수 있는 '전망존'

 

 

 

 

 

 

 

 

 

 

 

 

 

 

 

 

 

 

 

 

축대 높은 곳에 사당이 자리한다. 
내삼문인 성인문(成仁門)은 잠겨 있다. 
문 옆 담장 너머로 사당의 웅장한 모습이 절반쯤 보인다. 현판은 숭정사(崇正祀)다. 육신사가 아닌 것은 사육신과 더불어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의 위패가 함께 봉안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곳은 1974년 '충효위인유적정비사업'에 따라 성역화됐다. 축대 아래에 사육신의 행적을 기록한 커다란 육각비가 서있다. 그 옆에는 박정희, 최규하, 그리고 박팽년의 18세손인 박준규 전 국회의장의 서명이 새겨진 작은 비석이 서있다.

 

 

 

 

 

 

 

 

 

 

 

 

 

 

 

 

 

 

 

 

 

 

 

 

 

 

 

 

 

숭절당의 모습이다.
정문에서 들어오면 오른쪽에 있다

 

 

 

 

 

 

 

 

 

 

 

 

여기 이 부분도 참 예쁘다. 
둥글고 큰 돌이 보이게 만든 담장도 예쁘고. 

 

 

 

 

 

 

 

 

 

 

 

 

 

 

 

 

 

 

 

육신사에는 방문객이 많은 편이다. 
꽃이 피어서 일지도, 혹은 뜨거운 7,8월이라서. 하나둘 떨어지는 속에서 사람들은 해설사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있다.

 

 

 

 

 

 

 

 

 

 

 

 

 

 

 

 

 

 

 

 

 

홍살문은 관아, 능, 묘, 재실 이런 곳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신성시하는, 중요한 장소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하마비가 있는 곳들엔 주변에서 대부분 홍살문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출입문의 역할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악귀, 나쁜 기운을 쫓고 공격하기 위해서 붉은색과 화살로 되어 있다 

 

 

 

 

 

 

 

 

 

 

 

 

 

 

 

 

 

 

 

 

충의사 앞에서 바라본 모습

'육신사' 현판이 있는 외삼문을 지나고 

 

 

 

 

 

 

 

 

 

 

 

 

세조의 칼날에 스러진
사육신을 모신 육신사

동네 고택이 어느 곳 못지않게 대단한다

 

 

 

 

 

 

 

 

 

 

 

 

경내의 좌측의 언덕진 곳에는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을 모신 충의사(忠義祠)가 위치한다. 
오르는 돌계단이 고적하다. 

 

 

 

 

 

 

 

 

 

 

 

 


정문에서 들어오면서 왼쪽의 높은 곳에 위치한  충의사 

 

 

 

 

 

 

 

 

 

 

 

박팽년의 아버지 한석당 박중림을 배향한 곳

 

 

 

 

 

 

 

 

 

 

 

 

 

 

 

 

 

 

얼룩덜룩해진 낡은 기와
난 왜 이 낡은 기와가 좋은지. 

 

 

 

 

 

 

 

 

 

 

 

 

 

박일산이 이곳에 자리 잡은 후 묘골에는 박팽년의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

 

 

 

 

 

 

 

 

 

 

 

 

 

박팽년은 세조가 즉위하자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당했다.

 1691년 숙종17년 신원되었고 1758년 영조 34년 이조판서로 증직되었다 .

 

 

 

 

 

 

 

 

 

 

 

 

도곡재는 1778년에 지어진 서정 박문현의 살림집으로 1980년대에 들어 도곡 박종우의 재실로 사용하였다.

육신사 외삼문 앞에서 직선으로 뻗어 내려가는 길을 본다. 덩실한 기와집들을 감싸고 있는 담벼락도 단을 그리며 내려간다. 담장은 매우 높게 느껴지고 내부의 모습은 조금도 가늠되지 않는다

 

 

 

 

 

 

 

 

 

 

 

 

 

대문 하나가 열려 있다. 

색색의 꽃들이 피어난 마당이 따뜻하고 반갑다. 네 칸의 소박한 건물에 도곡재(陶谷齋) 편액이 걸려 있다. 도곡재는 원래 대사성 서정(西亭) 박문현(朴文鉉)이 정조 2년인 1778년에 살림집으로 지은 건물이라 한다. 이후 1980년대에 들어 도곡(陶谷) 박종우(朴宗佑)의 재실로 사용하면서 그의 호를 따 도곡재라 했다. 

 

 

 

 

 

 

 

 

 

 

 

 

 

 

 

 

 

 

 

 

 

 

 

 

 

 

 

박종우는 인조 때의 사람으로 한강 정구의 문인이었다.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고 '달성십현(達城十賢)'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인조가 머물던 남한산성이 포위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그는 아흔에 가까운 양친 때문에 직접 전투에 나서지 못했다. 
1637년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하자 박종우는 그동안 썼던 저술을 모두 불태우고 스스로 숭정처사(崇禎處士)라고 부르면서 생을 마칠 때까지 은거했다. 

 

 

 

 

 

 

 

 

 

 

 

소박한 도곡재와 잘 어울리는 화단
여름꽃 한창 들여다 본다

 

 

 

 

 

 

 

 

 

 

 

 

 

사랑마루 왼쪽의 툇마루는 후대에 달아낸 것 같다. 
대청을 넓혀 누마루처럼 꾸몄는데 꼭 평상처럼 편안해 보인다. 그러나 평생 쓴 글들을 모두 불태운 심사를 생각하면 저곳에 앉아 꽃 보는 일은 엄두도 나지 않는다.

 

 

 

 

 

 

 

 

 

 

 

한옥으로 아름다운 마을 묘골마을
날씨가 너무 뜨거운 날이라 땀이 줄줄 흘렀지만 아름다운 풍경에 잠시 쉬어간다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마을에 위치한 육신사와 태고정 
묘리마을 전체가 꼭 한 번쯤 가 보라고 추천하고 싶은 곳이다. 

묘리마을(묘골마을)은 사육신 박팽년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순천박씨 집성촌이다.

 

 

 

 

 

 

 

 

 

 

 

 

삼가헌(三可軒)


 

삼가헌같은 배롱나무 명소들이 즐비 해 있는데우리는 육신사 이어 삼가헌(三可軒)을 방문했다.

대구 여행길 자주 오지만 삼가헌은 처음 와 본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800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고택,
국가 민속문화재 104호로 지정된 달성 삼가헌 고택

달성 삼가헌 고택 앞에 주차를 할 수가 있지만
공간이 많이 넓지 않기에 주차하기에 쉽지는 않으니 참조

 

 

 

 

 

 

 

 

 

 

 

 

배롱나무는 거의 만개  해 있었고 연꽃은 안 피어 있긴한데들어갈 수가 없었다. 

다른 블로그 포스팅 보니까 들어가서 사진 찍었던데 왜.....?
평일엔 개방하고 주말,휴일엔 개방하지 않는다고 한다. 재확산 코로나 땜에...

 

 

 

 

 

 

 

 

 

 

 

 

 

 

그것도 모르고 삼가헌에 갔는데 우리들의 방문을 삼가허네.......
그래서 여기가 삼가헌이네...

 

 

 

 

 

 

 

 

 

 

 

 

 

대구 달성군 하빈면 가볼 만한 곳 삼가헌 고택은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마을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고 있는 파회마을에 자리 잡은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묘골마을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현재는 또 다시 코로나19로 인해서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하루빨리 코로나19가 종식되어서 마음 편히 들어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1769년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가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신의 효를 따서 삼가헌(三可軒) 이라고 이름하였다고 한다.
삼가란 중용에 나오는 선비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천하와 국가를 다스릴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고,날카로운 칼날을 밟을 수 있음을 뜻한다고 한다.

 

 

 

 

 

 

 

 

 

 

 

 

 

달성 삼가헌은 대문채, 문간채, 사랑채, 안채,곳간채, 창고, 하엽정, 연지, 협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제약이 있어 이 문을 통해서 안으로 들어가지는 않았는데,
신랑 목마타고 담장 넘어 담아본다.

 

 

 

 

 

 

 

 

 

 

 

 

​넓은 터에 안채와 사랑채,
아름다운 정원이 있는 별당채,
그 외 여러 부속채로 구성된 배치 형식은 사대부 가옥의 공간 구성과 생활상을 이해 하는데  좋은 자료
정말 여름에 잊지 않고 가야 할 곳이다

 

 

 

 

 

 

 

 

 

 

 

 

카면서 신랑 목마타고 두세장 으로 만족한다.

무건 와이프 목마 태우다고 고생하신 신랑에게 고마움을...ㅎ

암튼 방문을 삼가당 하고 구름이 좋아 바로 그길로 가실성당 으로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