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과여행▒/2023년앨범

경남 양산 통도사 극락암(極樂庵) 안개 자욱한 아침 산수유 열매을 만나다. 【23년1월15일】

 

 

 

 

 

 

나는 안개 낀 풍경을 좋아한다

안개 속 몽환적인 풍경을 담은 화폭과도 묘하게 어울리는 공간이 아닌가

안개속에  숨고 싶은 아침

 

 

반야암에서 나와 극락암으로 가는 길 앞에 섰다. 
푸른 솔밭이 눈 앞에 펼쳐진다.  
무풍한송로 소나무들이 길을 껴안듯 가지를 뻗어 에워싸고 있는 느낌이라면 이곳 솔밭은 길을 수호하듯 하늘로 줄기를 뻗어 올리고 있다.  
빽빽한 소나무 사이로 드문드문 짙는 안개로 몽환적인 풍경을 내시선을 잡는다

 

 

 

 

 

 

 

 

 

 

 

 

 

제법 자주 가는 통도사 극락암 이다.
이른 아침 안개로 휩쌓인 극락암
통도사 암자 중에 가장 좋은 위치에 있다.

 

 

 

 

 

 

 

 

 

 

 

 

 

영축산의 독수리가 두 날개로 품은 듯한 곳에 극락암 이다

 

 

 

 

 

 

 

 

 

 

 

 

 

우리나라에 풍경이 아름다운 곳에는 사찰 아니면 군부대가 점령하고 있다
그러니 자연 풍광이 아름다운 곳을 가고 싶다면 입장료를 내야만 갈 수 있거나 아예 갈 수 없다.
통도사 봄되면 홍매화 시즌 되면 몇번을 갔는지....

 

 

 

 

 

 

 

 

 

 

 

 

양산 통도사 극락암 들어가는 초입,그리고 뒤로 병풍처럼 둘러쌓은 늠름한 아름드리 적송 또한 아름다운 암자이다

 

 

 

 

 

 

 

 

 

 

 

 

오전 8시를 넘기는 시간 짙은 안개로 몽환적인 풍경에 반했던 이날,,

 

 

 

 

 

 

 

 

 

 

 

 

 

통도사 극락암 산수유꽃 【22년3월22일】이어
통도사 극락암 산수유열매【23년1월15일】방문 해 본다

 

 

 

 

 

 

 

 

 

 

 

 

양산 통도사 극락암(極樂庵)
통도8경 중에 하나인 극락 영지

 

 

 

 

 

 

 

 

 

 

 

 

통도사 극락암은 영축산이 독수리 알을 품은 듯한 국내 최고의 명당 터에 있으며, 한강 이남 최고의 참선수행도량인 극락호국선원 (極樂護國禪院)이 있다. 
고려 충혜왕 5년 (1344)에 창건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법당들을 지홍대사(智弘大師)가 조선 영조 34년 (1758)에 중창하였다. 고종 30년(1893)에 무량수각을 중건하였다.

근대의 대표적 선승인 경봉스님이 1955년 조사각에 33 조사 영정을 모셨다.

1975년 정수보각을 신축하고, 1982년 무량수각을 중창하였다. 1991년 명정
스님이 조사각을 참선수행하는 선원으로 개수하는 등 현재의 암자 형태를 만들었다.

 

 

 

 

 

 

 

 

 

 

 

 

 

현존하는 건물은 법당인 무량수각과 정수보각 · 조사각 · 수세전 · 영월루 (설법전) · 삼소굴 · 원광제 · 독성각(단하각) · 여여문 · 해우소 등이 있다. 경남 문화재 자료로 석조관음보살좌상, 청동반자, 아미타후불탱화, 신중탱화가 있다.
극락암은 “여기 극락에는 길이 없는데 어떻게 왔는가.” “사바세계를 무대로 멋지게 살아라.”라는 법어로 유명한 원광 경봉(圓光 鏡峰,1892~1982) 선사가 주석한 곳이다. 

 

 

 

 

 

 

 

 

 

 

 

 

 

스님은 1923년 극락암에서 양로염불만일회 (1925~1953)를 창설하여 염불 수행을 하였으며, 1927년 화엄산림 법회를 하던 중 크게 깨달음을 얻으시고, 또 1929년 새벽 촛불이 흔들리는 것에 확철대오 (確撤大悟)의 대도(大道)를 성취하시었다. 
1953년 극락암의 호국선원 조실로 추대돼 선문답과 설법으로 스님과 일반 대중에게 불법을 깨우치시며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키셨다. 시·서·화 등 삼절에 선, 차까지 두루 갖춰 오절(五絶)로 불리웠던 경봉 스님은 1982년 7월 17일 “야반삼경에 대문 빗장을 만져 보거라.” 하시며 열반에 드셨다.

 

 

 

 

 

 

 

 

 

 

 

 

 

극락암은 사계절 풍광이 아름답다. 

봄의 극락영지 벚나무, 여름의 영월루 바람과 달빛, 가을의 삼소굴 감나무, 겨울의 단하각 대숲과 솔숲이 극락암 4경이다. 
극락호국선원에는 눈푸른 수행승들이 매년 참선 수행을 하고 있다.

또한 수세전은 수명 장수, 단하각은 학업성취 기도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영축산 산세를 올곧은 자세로 허리를 펴고 좌정한 부처의 모습과 비유한다면 지금까지 둘러본 암자들은 무릎과 허리 부근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축산 깊은 곳에 있는 극락암과 비로암은 단전(丹田)에 해당하는 암자고, 백운암은 심장에 가까운 곳에 있다.  

 

 

 

 

 

 

 

 

 

 

 

 

양산 통도사 극락암 빗방울에 맺힌 루비처럼 빛나는 빨간 산수유 열매

 

 

 

 

 

 

 

 

 

 

 

붉은 과실로 눈을 즐겁게 하고, 봄이면 산에서 꽃으로 마음을 즐겁게 해주는 팔방미인 이다

 

 

 

 

 

 

 

 

 

 

 

담장 위에 내러앉은 노란 산수유 열매.
경봉스님의 거처였던 아담한 삼소굴과 함께 암자로서 매우 규모가 큰 극락영지는 영축산의 봉우리가 비치는 연못으로 유명하여 연못을 가로지르는 홍교와의 조화가 아름다운 곳이다.

 

 

 

 

 

 

 

 

 

 

 

 

통도사에는 19개의 크고 작은 암자들이 있다. 
암자마다 풍경들이 빼어나고 고즈넉 해서 산책하기 에도 너무 좋다.
오늘 찾은 암자는 극락암 산수유열매

 

 

 

 

 

 

 

 

 

 

 

 

비 오는 날 산수유 열매의 빗방울 

 

 

 

 

 

 

 

 

 

 

 

빗방울을 머금은 앙상한 나무들은 생기를 더해주고 산수유나무의 꽃눈은 금방이라도 터질 것 만 같았다

 

 

 

 

 

 

 

 

 

 

 

 

비를 맞고 빗방울과 함께 빛나는 산수유 열매가 어찌나 예쁘던지... 

 

 

 

 

 

 

 

 

 

 

 

 

빗방울 닮은 산수유열매
1월 중순경 인데도 사찰안에 아직도 열매가 있다

 

 

 

 

 

 

 

 

 

 

 

 

포근한 날씨 속에 겨울비가 촉촉이 내린 15일 빗방울을 머금은 새빨간 산수유 열매들이 나의 시선을 이끌고 있다

 

 

 

 

 

 

 

 

 

 

 

 

 

우리 시대 고승으로 이름 높은 경봉 스님이 기거했던 극락암 삼소굴의 돌담장 옆에도 빨간 산수유 열매 흐드러지게 매달려 있다.

 

 

 

 

 

 

 

 

 

 

 

 

극락암은 통도사 암자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암자이다

통도사는 암자까지 합하면 전체 면적이 1650만㎡(500만평)에 달해 하루이틀 여정으로는 다 돌아볼 수가 없다. 
통도사 암자 중 가장 먼저 찾아야 할 곳을 꼽는다면 서운암과 극락암이 빠지지 않는다. 

 

 

 

 

 

 

 

 

 

 

 

 

서운암은 진귀한 볼거리가 여럿이다. 가장 먼저 2000여개 장독이 눈길을 끈다. 
햇빛에 반짝이는 장독과 그 옆의 매화, 그리고 절집이 어우러진 장면은 봄 풍경의 백미라고 하겠다. 
작은 불상 3000좌를 모신 삼천불전, 도자로 빚은 대장경판 16만여장이 안치된 장경각도 장관이다

 

 

 

 

 

 

 

 

 

 

한겨울 붉은 열매로 다시 피어날 산수유나무 

 

 

 

 

 

 

 

 

 

 

나무마다 빨갛게 익은 산수유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린 열매

 

 

 

 

 

 

 

 

 

 

바람이 없는 차가운 무풍한솔 길을 걸어, 
그 청량함을 꼭 닮은 통도사
무언가 간절해지거나, 어느 것조차도 갖고 싶지 않아 놓아버리고 싶어지면 두 손을 모으게 되는 기도처럼.

 

 

 

 

 

 

 

 

 

 

 

동양학자 조용헌의 ‘통도유사’란 책에 보면 세계의 오래된 도시나 신전이 있는 곳은 지기의 영험함으로 맑아지는 곳, 
신들이 거처하는 우주의 중심이라는 표현이 있다. 
하늘의 이야기를 전한다는 독수리 지형과 여섯 마리 용이 사는 터를 가진 곳이라는 글을 굳이 읽지 않더라도 누구나 하늘 아래 날개 펼친 통도사 영축산 앞에서 그 장엄한 산세에 압도된다.

 

 

 

 

 

 

 

 

 

 

 

 

그 영축산의 북쪽 중턱에 자리 잡은 암자 극락암

 

 

 

 

 

 

 

 

 

 

 

 

극락암에는 몇 가지 흥미 있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70년대 중반 대마초 사건으로 세간의 입이 오르내리던 가수 조용필씨의 일화가 그 하나다. 
어지러운 마음을 추스르려 찾은 이곳, 그를 모르던 노승이 ‘너는 뭐하는 사람이냐’라고 묻자 ‘노래하는 가수입니다’라는 대답에 ‘ 그럼, 너는 꾀꼬리구나, 꾀꼬리를 찾거라’라는 선문답을 들은 후 늘 화두로 마음에 담았다가 작곡한 곡이 ‘못 찾겠다 꾀꼬리’였다는 이야기가 흥미롭다.

 

 

 

 

 

 

 

 

 

 

 

봄이면 홍매화, 산수유, 여름이면 수국, 백일홍이 만발하는 꽃 같은 절, 
바로 그 꾀꼬리를 찾으라던 조실 경봉스님과 많은 스님들이 수양을 하려 찾았던 배움의 절이기도 하다. 
‘세상에서 가장 급한 일은 자신이 누구인지 찾는 일이다. 하지만 중생은 화급한 것은 찾지 않고 바쁘지 않은 것에만 바쁘다고 한다’ 말씀하셨던 경봉스님은 극락암 뒷간 두 곳에 팻말을 걸었다.

 

 

 

 

 

 

 

 

 

 

 

 

 

 

 

 

 

 

 

 

작은 일을 보는 휴급소(休急所)에서 쉬어가고 큰일을 보는 해우소(解憂所)에서 근심을 풀어 놓으면 도를 닦는 것이나 마찬가지니, 산사의 뒷간에 해우소라는 낱말을 처음 지으신 분이시다. 
그렇게 극락암은 산 자와 죽은 자가 만나 쉬어가고 또 비워내는 곳이기도 하다.

 

 

 

 

 

 

 

 

 

 

 

 

 

경봉스님의 여러 설법 중 마음에 닿는 글귀가 있다.
 ‘설법을 하자니 입으로 아무리 말을 많이 하더라도 말은 말뿐이요 글로 수없이 적는다 해도 다만 글뿐, 
비유하자면 매일 먹는 밥이지만 그 참 맛을 말로 형용하기 어렵고, 장미의 향기를 맡고 그 향성을 글로써 표현하기는 어렵다’는 말씀이 있다. 

 

 

 

 

 

 

 

 

 

 

 

 

 

 

 

 

 

 

3월엔 목련과 산수유꽃.
4월엔 벚꽃나무가 곳곳에 있어 또 이쁜 풍경을 볼 수있는 곳이다

 

 

 

 

 

 

 

 

 

 

열매이어 어느 순간에 또 다시 꽃이 피울것이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라고 노래한 시인이 있다. 
이 세상 그 어떤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은 없다고 했다.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 다 젖으며 피었나니, 
바람과 비에 젖으며 따뜻하게 꽃잎을 피웠듯 젖지 않고 가는 삶은 없다고 했다. 

인생의 꽃을 피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싹은 내 의지와 무관하게 트이지만,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비에 젖고 바람에 흔들리면서도 많은 것을 이겨 내야 가능한 것이기에 더욱 그렇다.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해주는 안개 낀 잔잔한 풍경

 

 

 

 

 

 

 

 

 

 

 

 

긴 겨울 끝나고 새로운 봄이 서서히 올것이다.

어제 오늘 기온이 많이 올라 따스했는데 그래도 한두번은 꽃샘 추위가 있을 것 같다.

인생도 사계절처럼 어느 세월은 춥고 또 어느 세월은 따스하고 그렇지 않을까?

 

 

 

 

 

 

 

 

 

 

 

봄, 여름, 가을, 겨울 사시사철의 풍경들..
세월의 덧없음과 인생의 무상함

 

 

 

 

 

 

 

 

 

 

아직은 1월 한겨울

모든 생물에게 혹독한 시간인 겨울이다. 
몸을 움츠러들게 하게 하고, 거친 바람은 오만과 자만으로 지내던 시간을 한동안 가난한 마음으로 만든다. 

그것보다 더욱 감정을 가라앉게 하는 것이 앙상하게 뼈대만 남은 숲의 풍경이다. 
그러다가 무뚝뚝한 모습으로 굳건히 서 있는 초록색 나무들을 보면 그제야 소나무임을 알아차린다. 마치 영화 '쉰들러 리스트'의 빨간 코트를 입은 여자아이가 걸어가는 한 장면처럼 흑백영화에서의 색채대비와 같은 효과를 불현듯 맞이한다.

 

 

 

 

 

 

 

 

 

 

 

자연속에 빠져 사계절의 변화를 느끼는 사진생활

 

 

 

 

 

 

 

 

 

 

 

 

 

 

 

 

 

 

풍경(風景)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모습.

풍경이 담긴 사진을 좋아하다가, 언젠가부터 사진을 좋아해서 풍경을 찍는다.
언제든 담으라며 곁에서 소재가 되어주는 소소한 풍경들.
그러다 때로는 지친 마음을 위로해주는- 
사계절만큼 놀랄만큼 고맙고 아름다운 풍경이라는 이름.

 

 

 

 

 

 

 

 

 

 

 

 

 

 

 

 

 

 

풍경을 넋놓고 바라보고 있으면 바람에 흩날리는 나뭇잎의 존재도 알껏 같고...

 

 

 

 

 

 

 

 

 

 

 

 

 

 

 

 

 

 

 

 

 

 

 

 

여행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걸 마음껏 볼 수 있어서 좋은 것처럼, 
사진도 일상생활 보다는 일상을 벗어난 풍경에서 더 열심히 담게 되는 것 같다.

 

 

 

 

 

 

 

 

 

 

 

풍경 촬영으로 가장 많이 찍게되는 대상도 바다와 산, 
그리고 그밖의 여행지 인 것 처럼 사진도 더 효과가 있는지 안정적인 느낌이 듣다.

그러기 위해선 머물러 있기 보다는 몸을 사리지 않고 움직여야 한다. 
일단 가고, 
일단 보고, 
일단 담아내기! 

 

 

 

 

 

 

 

 

 

 

 

 

 

 

 

 

올해
여행길 보단 산행길을 걸어야 하는데
근 몇년을 쉬고 있으니...

 

 

 

 

 

 

 

 

 

 

 

내 안의 열정은
아침에 눈을 뜨는 이유이고,
또한 저녁까지 들뜬 마음으로 버틸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극락암 유래는 고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332년(고려 충혜왕 2년)에 창건됐다는 기록이 있지만, 창건자는 명확하지 않다. 이후 1758년(영조 34년) 지홍대사(智弘大師)가 중창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하지만 감원인 명정 스님은 극락암을 새로 중건할 때 절터에서 신라 시대 기와와 유물들이 나온 것을 볼 때 그보다 더 오랜 역사를 지닌 암자라고 믿고 있다. 

 

 

 

 

 

 

 

 

 

 

 

경남 양산의 극락암.

대가람 통도사에 딸린 열아홉개 산내 암자 중 하나

 

 

 

 

 

 

 

 

 

 

극락암 극락영지와 홍교

극락암(極樂庵)의 봄은 화려하다. 
꽃비를 뿌리는 벚꽃이 만발하는 시기면 극락암은 이름 그대로 극락에 와 있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홍교에 올라 멀리 영축산과 가까이 극락암 풍경을 즐기면 좋은곳이다.

 

 

 

 

 

 

 

 

 

 

 

아름다운 풍광에 취해 극락암의 본모습을 놓쳐서는 안 된다. 

통도사 극락암 들머리에 거무튀튀한 가지 끝에 봄이 되면 가녀린 연분홍 꽃잎을 매단 자태가 일품이다. 
극락영지를 넘어 피안의 세계로 드는 듯한 무지개다리는 당대의 선지식으로 꼽히는 경봉 스님이 1962년 세운 것이다.

 

 

 

 

 

 

 

 

 

 

 

 

그윽한 정취로는 극락암이 으뜸이 아닐까 싶다. 

영축산 정상의 바위들과 그 아래 소나무숲이 병풍처럼 둘려 있고, 그 고목과 바위 사이에 절집이 보일 듯 말 듯 고즈넉이 앉아 있다

 

 

 

 

 

 

 

 

 

 

 

달빛 그림자를 볼 수 있는 영월루에 올라 연못을 바라보며 잠시 앉았다. 

정처 없이 흩날리는 비조차 극락에선 단정하게 떨어지는 모양이다

 

 

 

 

 

 

 

 

 

 

또옥똑 또옥똑 아래로 아래로. 
바람과 빗방울 머물게 하는 네모난 절 창 아래로 아래로 내 마음도 내려앉는다

 

 

 

 

 

 

 

 

 

 

 

 

 

 

 

 

 

 

옛 스님들이 다니던 산속 숲길을 잇는다는 통도사
산문 안쪽 19여개 암자를 연결해 사색의 길을 되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온다

 

 

 

 

 

 

 

 

 

극락암의 산문으로 들어서는 길은 수백 그루의 소나무가 허리를 굽고 서있는 솔 숲길을 다시 스쳐 지나면. 
서로에게 몸이 닿지 않게 배려하느라 긴 세월 구부러지고 휜 노송들
한참 바라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