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과여행▒/2022년앨범

강원도 가볼만한곳::영월 청령포 단종 유배지 【22년8월5일】

 

 

 

 

 

강원도 가볼만한곳 영월 청령포는 
어린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나 수양대군에게 왕위 빼앗기고 결국 죽음에 이른 단종 유배지로 유명한 곳으로 영월 가볼만한곳 논할때 빼놓을수없는 여행지 이다
예전에 셋번 방문한적 있었으나 청령포 가득한 울창한 소나무숲과 아름다운 경치 생각나 지나는 길에 들려 보았다

 

 

 

 

 

 

 

 

 

 

 

 

 

 

 

청령포가 육지이긴 하나 뒷편 산세 험준하여 남한강 건너 배 타고 들어가야 하는 곳으로 
매표소, 주차장 오밀조밀 모여있는곳 지나 선착장 에서 75m 배 타고 들어가면 청령포 도착한다

 

 

 

 

 

 

 

 

 

 

 

 

청령포 전경

서강이 험준한 육육봉을 휘돌아가는 곳에 자리한 청령포는 자연이 만들어낸 천연의 유배지다

청령포 주차장에서 내려 배를 타고 서강을 건너 청령포로 들어간다

 

 

 

 

 

 

 

 

 

 

 

 

설명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기념물 제5호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2월 26일 명승 제50호로 변경되었다. 
영월군 남면 광천리 남한강 남한강 상류에 있다. 

강의 지류인 서강(西江)이 휘돌아 흘러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있고 한쪽으로는 육륙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어서 마치 한반도처럼 생긴 지형이다. 
1457년(세조 3) 6월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端宗)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그해 여름, 홍수로 서강이 범람하여 청령포가 물에 잠겼다. 단종은 강 건너 영월부의 객사인 관풍헌(觀風軒)으로 처소를 옮기기 전까지 두어 달간 이곳에서 생활하였다. 
워낙 지세가 험하고 강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단종이 이곳을 육지고도(陸地孤島)라고 표현했다고 전한다. 

청령포에는 단종이 그곳에 살았음을 말해 주는 단묘유지비(端廟遺址碑)와 어가, 단종이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노산대, 한양에 남겨진 정순왕후를 생각하며 쌓은 돌탑, 외인의 접근을 금하기 위해 영조가 세웠다는 금표비(禁標碑)가 있고 관음송(천연기념물 349)과 울창한 소나무숲 등이 남아 있다. 
단종은 그해 10월 관풍헌에서 사약을 받고 숨졌다.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유적지가, 휘돌아 흐르는 서강과 어우러져 자연 경관이 뛰어난 명승지이다. 보호면적은 204,241m로, 영월군이 관리한다.

 

 

 

 

 

 

 

 

 

 

 

 

 

 

청령포는 영월의 서강 건너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은 육육봉이 험준한 층암절벽으로 솟아 있고 주위에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마치 섬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내륙의 깊은 산속에 위치한 이 유형(流刑)의 땅은 배를 타고 서강을 건너지 않으면 밖으로 나올 수 없는 감옥과도 같은 곳이다. 
바로 1457년(세조 3)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던 청령포다.

 

 

 

 

 

 

 

 

 

 

 

 

청령포는 서강이 굽이쳐 흐르면서 만들어진 요새와 같은 곳이다.

 

 

 

 

 

 

 

 

 

 

 

 

 

영월 청령포(寧越 淸冷浦)는 조선 단종의 유배지 이다 단
종은 세조 찬위 후 세조 측근들의 탄핵으로 이곳에 유배되었다가 암살되었다. 2008년 12월 26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청령포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로 서쪽은 육육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고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섬과 같이 형성된 곳으로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노산대, 망향탑 돌무더기 등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전망대에서 서강을 내려다니 천 길 낭떠러지 아래 서강이 유유히 흐르고 있다. 강물 위에 하얀 꽃송인지, 하얀 물방울인지 둥둥 떠내려 오고 있었다.

 

 

 

 

 

 

 

 

 

 

 

 

 

 

 

 

 

 

 

 

 

 

 

 

 

 

 

 

 

 

 

 

 

 

 

 

 

 

 

 

 

 

 

 

유배 당시 단종이 정순왕후를 생각하면서 쌓았다는 망향탑의 모습
왕후 송씨를 생각하면서 눈물로 쌓은 탑으로 단종이 남긴 유일한 흔적이다.

 

주변에 강이 흐르고 있어서 청령포 유람선을 타고 갈 수 있으며 단종이 머물렀던 어소(御所)와 금표비, 와송(臥松)과 망향탑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인 ‘관음송’을 비롯하여 단종의 어가 주변에 조성된 크고 오래된 소나무림이 270° 돌아 흐르는 서강과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매우 뛰어난 명승지 이다.

 

 

 

 

 

 

 

 

 

 

 

 

원통한 새 한 마리가 궁중을 나오니
외로운 몸 그림자마저 짝 잃고 푸른 산을 헤매누나
밤은 오는데 잠은 이룰 수 없고
해가 바뀌어도 한은 끝없어라
새벽 산에 울음소리 끊어지고 여명의 달이 흰 빛을 잃어가면
피 흐르는 봄 골짜기에 떨어진 꽃만 붉겠구나
하늘은 귀먹어 하소연을 듣지 못하는데
서러운 이 몸의 귀만 어찌 이리 밝아지는가
- 단종, 〈자규시(子規詩)〉

어린 단종의 한과 슬픔이 가득 묻어나는 피맺힌 절규다

 

 

 

 

 

 

 

 

 

 

 

 

단종어소 본채

 

단종의 어소는 단종이 생전이 머물렀던 곳으로 이곳에서 글을 읽거나 휴식을 취하였으며 밤에 몰래 찾아온 엄흥도와 대화를 나누었던 공간이기도 한다. 
엄흥도는 매일 밤이 되면 청령포 강을 건너서 어소에 자주 들리면서 단종이 암살되어서 영면할 때까지 그의 말동무가 되어서 외로움을 달래주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단종은 어린 시절 자기를 업어주던 할아버지 세종의 인자한 모습과 집현전 학사들에게 세자를 부탁한다는 말을 남기고 요절한 아버지 문종의 얼굴을 떠올렸다. 
자신을 낳고 3일 만에 돌아가신 어머니, 왕위 회복을 위해 충정을 다한 사육신의 죽음, 그리고 생이별한 아내 정순왕후의 비통한 모습이 흘러내리는 눈물 속에 어른거렸다. 
어린 나이에 육지 속의 고도 청령포로 유배된 단종은 한없는 슬픔에 잠겼다.

 

 

 

 

 

 

 

 

 

 

 

 

 

 

 

 

 

 

 

 

단종어가 내부 
단종어가의 방 안에는 슬픈 모습으로 앉아 있는 단종이 재현되어 있다.

 

 

 

 

 

 

 

 

 

 

 

 

 

 

 

 

 

 

 

 

 

 

 

 

 

 

 

 

 

단묘재본부시유지비

영조 39년에 세운 비석으로, 단종의 유배지인 이곳이 단종의 어소였음을 표시한 비석이라고 한다

 

단종 어가 뜰에는 단종의 옛 집터를 기념하기 위해 영조 39년에 세운 비가 비각 안에 세워져 있다. 
비의 앞면에는 영조가 직접 써서 하사한 '단묘재본부시유지(端廟在本府時遺址)'라는 글과 비의 뒷면에는 ‘歲皇明崇禎戊辰紀元後三癸未季秋泣涕敬書令原營竪石’란 글이 새겨져 있다. 
청령포라는 이름은 영조가 직접 쓴 ‘단묘재본부시유지(端廟在本府時遺址)’란 글에서 찾을 수가 있다.

 

 

 

 

 

 

 

 

 

 

 

 

 

 

어가 사랑채, 단종을 모시는 사령의 모습, 어가 대청마루에 놓인 장롱, 이불을 단정하게 개어 얹고, 단정한 모습으로 책을 읽고 있는 단종의 모습을 보고 있으려니 마음이 짠하다.

 

 

 

 

 

 

 

 

 

 

 

 

 

 

 

 

 

 

 

 

단종어소 행랑채

 

 

 

 

 

 

 

 

 

 

 

 

 

 

 

 

 

 

 

시녀들이 살고 있는 초가집 어가를 관람하고 ..

 

 

 

 

 

 

 

 

 

 

 

 

 

 

단종어가 뒤편에 있는 소나무 숲 속에 천연기념물 제349호로 지정된 ‘관음송’으로 걸어갔다

청령포는 세조 2년(1456)에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유배되었던 곳으로 단종은 유배 생활을 하면서 둘로 갈라진 이 나무의 줄기에 걸터앉아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관음송(觀音松)이라는 이름은 단종의 비참한 모습을 지켜보았다고 해서 ‘볼 관(觀)’자를, 단종의 슬픈 말소리를 들었다 하여 ‘소리 음(音)’자를 따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나무의 껍질이 검은색으로 변하여 나라의 변고를 알려 주었다 하여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귀하게 여기고 있다.

 

 

 

 

 

 

 

 

 

 

 

 

청령포에서 금표비까지 관람을 마치고 서강을 따라 배편으로 주차장에 도착했다

 

 

 

 

 

 

 

 

 

 


영월은 단종과 관련된 역사의 땅이다. 단종의 능인 장릉이 소재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래 왕릉은 한양에서 100리 이내에 두는 것이 관례다. 그러나 조선의 왕릉 중에서 단종의 능만이 유독 한양에서 먼 곳에 위치하고 있다. 단종은 죽임을 당한 후 동강에 버려졌는데 영월의 호장이었던 엄홍도가 시신을 몰래 수습하여 산자락에 암장했다고 한다.

 

 

 

 

 

 

 

 

 

 

 

그래서 오랫동안 묘의 위치조차 알 수 없었는데 100여 년이 지난 중종조에 당시 영월군수 박충원이 묘를 찾아 묘역을 정비하였고, 250여 년이 지난 숙종조에 와서야 비로소 단종으로 복위되어 무덤도 장릉이란 능호를 갖게 된 것이다.

 

 

 

 

 

 

 

 

 

 

 

 

단종의 슬픈 역사로 점철된 청령포는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청령포에는 ‘구하도’라는 것이 있다. 
감입곡류 하천이 큰 모양으로 형성되어 흐르다가 중간 부분이 터져 물돌이가 짧게 휘돌게 되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청령포 하천의 모습이다. 

 

 

 

 

 

 

 

 

 

 

 

 

 

옛날에 물길이었던 곳은 그 후로 더 이상 물이 흐르지 않고 하천 지형만 남게 되는데 이를 구하도라 한다. 

청령포 앞의 구하도는 중요한 지리학적 의미를 갖는 지형이다.

 

 

 

 

 

 

 

 

 

 

 

 

청령포는 물돌이, 소나무 숲, 관음송, 육육봉의 기암절벽 등 자연 경관의 아름다움은 물론 단종과 관련된 역사적 의미가 매우 깊은 장소다. 
이러한 장소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2008년 문화재청에서는 청령포를 명승 제50호로 지정했다. 청령포가 명승으로 지정된 후 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고 있다.

 

 

 

 

 

 

 

 

 

 

 

 

영월군에는 청령포 외에도 선돌, 한반도 지형 등이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명승들은 볼거리로 연결되어 활용의 상승효과를 높여주고 있다. 따라서 영월을 찾는 탐방객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숨어 있는 명소를 발굴하여 명승으로 지정하는 것은 우리 국토의 아름다움을 밝히는 것이자 국민이 향유할 수 있는 소중한 자연유산을 확보하는 길이라 할 수 있다.

 

 

 

 

 

 

 

 

 

 

 

 

말굽처럼 휘돌아 나가는 서강의 물줄기는 오랜 세월 동안 산을 깎아 동쪽, 남쪽, 북쪽이 모두 강물로 감싸인 아주 특이한 지형을 만들었다.슬픈 역사를 지닌 서강의 청령포는 처연하리만큼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

 

 

 

 

 

 

 

 

 

 

 

 

 

 

 

 

 

 

 

 

 

 

 

 

 

 

청령포로 들어가는 나루에서 바라보면 푸른 강물로 둘러싸인 절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잠시후,

왼쪽 빨간 건물인 영월관광센터 가 볼 일이다

전에 없던 건물인데....

 

 

 

 

 

 

 

 

 

 

 

 

강물 건너로는 깨끗한 자갈과 흰 모래밭이 강굽이를 따라 펼쳐지고 위로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 가로로 길게 조성되어 푸르른 빛을 발하고 있다

 

 

 

 

 

 

 

 

 

 

 

 

 

솔숲 뒤로는 험준한 지세의 육육봉이 기암괴석으로 배경을 이루고 있어 마치 한 폭의 그림과도 같은 비경을 보여준다.

 

 

 

 

 

 

 

 

 

 

 

 

 

 

 

 

 

 

 

 

영월이 간직한 역사와 그 역사에 깃든 아픔들이 밀려오는 듯 했다.